전체 글 215

우분투에 Tomcat 8 설치하기

1. 톰캣 다운로드 홈페이지에서 압축파일(.tar)을 받아 적당한 곳에 푼다. 2. 톰캣 환경 설정 $ sudo gedit /etc/profile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export CATALINA_HOME=/usr/local/apache-tomcat-8.0.45(톰캣 디렉토리 경로) export CLASSPATH=.:$CATALINA_HOME/lib/jsp-api.jar:$CATALINA_HOME/lib/servlet-api.jar PATH=$PATH:$CATALINA_HOME/bin 설정 파일을 적용한다. $ source /etc/profile 3. 포트 변경 이유를 모르겠는데 오라클의 포트번호를 바꿨음에도 톰캣의 포트를 바꾸지 않으면 HTTP Status 404 - /apex/f 오류가 발생하였다. ..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우분투에 sqldeveloper 설치하기

sqldeveloper 설치방법 1. Oracle.com 사이트에서 sql Developer 다운 2. rpm -> deb 파일 변형 $ sudo apt-get install alien (이미 alien 설치한 경우 생략) $ sudo alien -k --scripts sqldeveloper-4.1.1.19.59-1.noarch.rpm $ sudo dpkg -i sqldeveloper_4.1.1.19.59-1_all.deb 3. SQL developer 다운 후 실행 $ sqldeveloper 문제 Type the full pathname of a J2SE installation (or Ctrl-C to quit), the path will be stored in ~/.sqldeveloper/jdk 해결..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우분투에 Oracle XE 설치하기

서론 기존의 Redhat 계열의 리눅스 서버 운영체제를 Ubuntu 서버로 운영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새롭게 설치해야한다. 최근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만들어지는 패키지들은 특정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운영체제의 기본 패키지로 포함이 되어 있거나 새롭게 컴파일해서 설치할 수 있도록 배포하고 있다. Oracle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아니다. Oracle Express Edition으로 무료 소프트웨어를 배포하고 있지만 리눅스 환경에서 RPM 패키지 관리툴로 설치할 수 있도록 배포하고 있다. 기존의 Redhat 계열 리눅스 서버에서는 RPM으로 설치가 가능했지만 Ubuntu 서버로 변경하면서 Oracle XE를 설치하는 메뉴얼이 필요해 서 Oracle XE를 Ubuntu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su(superuser), root 권한

일시적으로 root권한 부여 (superuser) su : superuser sudo : superuser do $ su + pw입력 혹은 $ sudo root 계정 로그인 권한없는 디렉터리 접근이나 파일 이동시 등 root 권한이 필요 할 때가 있다. 1. 터미널 - $ sudo passwd root 로 루트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2. 이름에 root, 암호에 위에서 설정한 암호를 입력하면 root계정으로 로그인이 된다. root 권한으로 파일 열기 1. 파일일 있는 경로에 가서 터미널을 실행 2. root 계정으로 로그인 ($ su) 3. 파일 실행 (ex # ./readme) (참고로 .(period)는 현재 경로를 가리킴)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APT란?

APT(Advanced Packaging Tool) 데비안 GNU/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 설치 또는 제거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쓰는 소프트웨어 sudo : superuser do (superuser 권한) sudo apt-get update : 패키지 버전 리스트 갱신 sudo apt-get upgrade :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 sudo apt-get dist-upgrade : 업그레이드 + 의존성 검사 sudo apt-get install [패키지이름] :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reinstall install [패키지이름] : 패키지 재설치 sudo apt-get remove [패키지이름] : 패키지 삭제 sudo apt-get --purge remove [패키지이름] : 패키지..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하드링크, 심벌릭링크

파일링크 - 기존에 있는 파일에 새로운 파일명을 붙이는 것 - 하드 링크: 기존 파일에 새로운 파일명을 추가 생성 (같은 파일) - 심벌릭 링크: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 (다른 파일) 리눅스 파일 구성 - 파일 = 파일명 + inode + 데이터 블록 - 파일명: 사용자가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파일의 이름 - inode -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구조체 - 외부적으로는 번호로 표시 (인덱스 번호 같은 존재) - 내부적으로는 파일 종류 및 크기, 소유자, 파일 변경 시간, 파일명 등 파일 상세 정보와 데이터 블록의 주소를 저장 - 파일명 달라도 inode가 같으면 같은 파일 (심볼릭링크는 다른 파일로 취급) * 파일의 inode 번호는 ls -i 명령으로 확인 가능 ..

카테고리 없음 2017.07.21

리눅스 터미널 명령어

프롬프트 기호 : 사용자의 명령 입력을 기다리는 표시. Shell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Bash shell : $ 시스템 관리자(root, superuser)의 경우 : # 기초 명령 모음 pwd : 현재 디렉터리의 위치 확인 clear : 현재 보이는 화면을 지우고 커서를 화면 좌측 상단으로 이동 man : 각종 명령의 사용법을 알려줌 file : 파일 종류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exit or Ctrl+d : 터미널 종료 (접속 해제) [text] + Tab : 텍스트 자동완성 2 x Tab --> 옵션 나열 명령 행 편집 방법 문자 지우기: 백스페이스 or del 단어 지우기: Ctrl+w (단어는 공백문자로 구분) 문장 지우기: Ctrl+u 경로 이동 cd [디렉터리명]: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cd..

카테고리 없음 2017.07.20

리눅스 파일의 종류와 디렉터리 구조

리눅스 파일의 종류와 특징 일반 파일(Regular File)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주로 사용 각종 텍스트 파일, 실행 파일, 이미지 파일 등 대부분의 파일 실행 파일/이미지 파일의 경우: 바이너리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 (바이너리 파일) 디렉터리(Directory) 디렉터리도 파일로 취급 디렉터리 파일에는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 장치파일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각종 장치도 파일로 취급 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비슷) ※ file : 파일 종류 확인 리눅스 디렉터리 계층 구조 경로는 /로 구분 (윈도우는 \) 파일과 디렉터리 이름 규칙 - 파일과 디렉터리 이름에는 /를 사용할 수 없음 (/는 경로명..

카테고리 없음 2017.07.20